본문 바로가기
기타/생물 식물 원예

울릉도 칡소 약소 호반우, 얼룩송아지는 젖소인가? 저지종 에이셔종

by sk3rd 2024. 1. 9.

목차

    울릉도 칡소 약소 호반우, 얼룩송아지는 젖소인가? 저지종 에이셔종

    한국은 다양한 소 품종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한우인 흑우와 울릉도 칡소는 독특한 역사와 특징을 가진 소 품종 중 하나입니다. 이 글에서는 흑우와 울릉도 칡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울릉도 칡소: 한국의 특별한 소 품종

    칡소는 한국의 소 품종 중 하나로, 한우와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우는 대부분 누런색의 소로 잘 알려져 있지만, 한국에는 여러 가지 다른 소 품종도 존재합니다. 실제로 조선시대 최초의 수의학서인 "우의방"에는 한우를 9가지 품종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칡소는 특별한 언급을 받는데, 이 중 이마가 황색인 소를 키우면 주인에게 행운이 깃든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전통적인 칡소는 흑우와 비슷하게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온몸에 검은색 줄무늬가 있습니다. 특이하게도 이 무늬는 태어났을 때는 없지만 생후 3개월 정도 지난 후에 서서히 나타나기 시작한다고 합니다. 이 독특한 무늬로 인해 칡소는 과거에는 "호반우"라고도 불렸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울릉도 칡소 약소 호반우울릉도 칡소 약소 호반우

    현재 한국 내에서 사육되는 칡소의 수는 약 2500마리 정도이며, 그 중 약 200마리 정도가 울릉도에서 사육되고 있습니다. 이는 2006년에 울릉군에서 칡소 복원 사육을 실시한 결과입니다.

    울릉도 칡소: 울릉도의 자랑

    울릉도 칡소는 칡소 중에서 가장 유명한 품종 중 하나입니다. 현재 울릉도에서는 이 소를 "울릉도 칡소"로 지정하여 천연기념물로 등록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지정된 천연기념물 중 축양동물은 제주 흑우, 제주 흙돼지, 진도 개 등 7종이 있는데, 앞으로 울릉도 칡소가 이 목록에 추가될지 기대됩니다.

    울릉도 칡소는 울릉도의 풍경과 함께 자란다는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며, 그 특이한 무늬와 역사적 가치로 인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과 관심을 통해 울릉도 칡소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고 보존되어 우리 후손들에게 전해질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칡소, 그 중에서도 울릉도 칡소는 한국의 다양한 소 품종 중에서 특별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의 역사와 문화를 풍요롭게 하는 중요한 존재입니다.

    자연의 경이로움: 우리가 몰랐던 동식물의 비밀

    어렸을 때, 나는 자연과 식물, 동물에 대한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숲속에서 나무들의 신비로움을 탐구하거나 동물들의 흥미로운 행동을 관찰하는 것은 제 삶에서 큰 즐거움이었습니다. 그러나 놀랍게도,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이런 경험들을 통해 더 겸손해지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나이가 한참 들어서야 나무들에 대해 더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이팝나무, 배롱나무, 회화나무 등 다양한 나무들이 산림을 아름답게 만들고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동안은 그저 나무들이 존재하는 것을 받아들이기만 했지, 이들의 역할과 가치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칡소와 한우의 비밀

    나의 경험은 나무뿐만 아니라 동물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나는 40세가 넘어서야 칡소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몇 년 전, 시골 경찰 3 울릉도 편을 보다가 칡소에 관한 이야기를 들었을 때, 처음에는 그저 다른 한우의 한 종류로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이야기를 깊게 파고들어보니, 칡소가 한우와는 완전히 다른 존재임을 깨달았습니다.

    칡소, 얼룩송아지, 젖소가 아니다

    칡소는 재래한우와 다릅니다. 호반우, 약소와 같은 다양한 특징을 지닌 칡소는 어쩌면 많은 사람들에게는 여전히 알려지지 않았을 수도 있습니다. 몇 년 전에 처음으로 칡소가 한우의 한 종류가 아님을 알게 되었을 때, 많은 사람들이 이 사실을 받아들이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지금까지도 얼룩송아지로 유명한 박목월 시인의 얼룩송아지는 사실 젖소가 아닌 칡소라는 사실이 정설로 알려져 있습니다.

    1930년대 한국의 우유와 젖소

    박목월의 시 속에서 본 시대 우유 생산과 소

    1930년대 한국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시기였습니다. 이 시기에는 일본의 식민지 통치 하에서 한국 사회가 크게 변화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 시기에는 우유와 젖소에 대한 관심도 높았을까요? 박목월의 시 속에서 나오는 젖소와 관련된 이야기를 통해 1930년대 한국의 우유 생산과 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박목월이 1930년대에 이 시를 썼다고 전해지는데, 이 시 속에서는 젖소에 대한 언급이 나옵니다. 그러나 이 시가 쓰인 시기에는 젖소가 현대의 칡소만큼 보기 힘들었던 시기였습니다. 얼룩무늬 젖소로 유명한 홀스타인 종의 소가 1970년대 이후에 한국에 들어왔기 때문에 일제강점기에는 젖소가 없었다고 주장하는 의견도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한반도에 얼룩무늬 젖소는 아니지만 젖소가 이미 들어와 있었습니다. 1885년에는 저지종 젖소가 이미 한국에 들어와 있었으며, 이 종류의 젖소는 갈색 단색 종으로 얼룩소와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1930년대에는 이미 우유가 대중화되어 집으로 배달되는 정도였습니다. 당시 신문 기사에는 우유 배달원이 우유 대금을 수금해서 횡령한 사례들도 보도되고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조선에 일본에서 들여온 젖소를 포함하여 1300두 이상의 젖소가 있었습니다. 이 중에서는 저지종과 에이셔 종 등 다양한 종류의 젖소가 있었습니다.

    따라서 박목월의 시대에는 얼룩무늬 젖소보다는 칡소가 더 흔하게 보였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하지만 그것이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1930년대 한국에서는 이미 우유와 젖소가 존재하고, 이를 통해 박목월의 시 속에서 우유와 젖소에 대한 어떤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역사적 맥락을 통해 박목월의 시가 어떻게 이 시대의 사회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는지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시대의 우유 생산과 젖소에 대한 정보는 우리가 어떻게 식품과 농업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한반도의 다양한 소 품종: 일제 강점기와 모색의 이야기

    한반도는 오랜 역사 동안 다양한 소 품종을 가졌습니다. 일반적으로 한우라고 말하면 황우를 떠올리겠지만, 한반도에는 황우 외에도 다양한 소 품종이 존재했습니다. 그 중에서도 특별한 이야기가 일제 강점기와 모색의 역사입니다. 이 글에서는 그런 다양한 소 품종과 그들의 역사를 알아보겠습니다.

    일본의 한우 수탈

    일본은 일제 강점기 동안 한반도의 우수한 한우 품종을 탈취하였습니다. 그 중에서도 흑우라 불리는 한우 품종은 150만두 이상이 일본으로 옮겨갔습니다. 이 과정에서 조선의 흑우가 일본의 흑우 품종으로 개량되기도 했습니다.

    한우 모색의 통일

    1938년, 일본은 한우 심사 표준을 만들어 '한우(조선우)의 모색을 적색으로 한다'는 규정을 시행했습니다. 이로 인해 황우를 제외한 다양한 모색의 한우 품종이 강제로 도태되었습니다. 그 전에는 다양한 소 품종이 존재했는데, 그 중에서도 피모의 색상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되었습니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은 한반도의 우수한 한우 품종인 흑우를 150 만두 이상 일본으로 수탈일제강점기에 일본은 한반도의 우수한 한우 품종인 흑우를 150 만두 이상 일본으로 수탈

    • 황우(黃牛): 피모가 누런 소
    • 흑우(黑牛): 피모가 검은 소
    • 리우(离牛): 피모에 얼룩이 있는 소
    • 백우(白牛): 피모가 흰 소
    • 청우(靑牛): 피모가 검푸른 소
    • 녹반 우(鹿斑牛): 피모에 사슴 같은 녹색 얼룩이 있는 소
    • 기타: 갈색 백 반우, 흑색 백 반우 등

    누런 황우(黃牛) - 황소누런 황우(黃牛) - 황소

    칡소, 호반우, 얼룩빼기 황소?

    과거에는 소의 품종을 나타내는 이름으로 칡소, 호반우, 얼룩빼기 황소 등 다양한 명칭이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들의 정체성을 확인하기는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박목월의 얼룩송아지가 호반우인지 갈색 백 반우인지 흑색 백 반우인지 확실하게 알 수 없습니다. 또한, 정지용의 시에 등장하는 '얼룩빼기 황소'도 그 증거가 부족합니다. 그저 얼룩빼기 황소라는 표현이 갈색 백 반우와도 어울릴 수 있다는 것뿐입니다.

    한반도의 소 품종은 다양하고 풍부했습니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와 모색의 정책으로 인해 다양한 품종이 강제로 통일되고 많은 품종들이 소실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과거의 명칭과 특징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게 되었습니다.

    한국의 유전자 복원 프로젝트와 의문점

    한국의 유전자 복원 프로젝트는 우리 땅의 고유종의 유전자를 복원하겠다는 취지로 시작되었습니다. 이러한 프로젝트는 환경 보호 및 유전 다양성 유지를 목표로 하며 많은 사람들의 지지를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프로젝트를 지지할 때에도 합당한 검증과 근거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한국의 유전자 복원 프로젝트에 대한 몇 가지 의문점을 제기하고자 합니다.

    복원의 필요성

    우선, 한국의 유전자 복원 프로젝트가 왜 필요한지에 대해 생각해봐야 합니다. 고유종의 보전은 확실히 중요한 목표입니다. 예를 들어, 제주 흑우의 복원은 실록과 기록에 숱하게 남아 있었기에 어느 정도 믿음을 갖고 시작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울릉도 칡소라는 생소한 브랜드는 근거가 빈약합니다. 칡소의 근거로 주장되었던 작품들 중에는 직접적으로 '칡소'라고 명시한 것이 없습니다. 이중섭의 그림, 정지용의 향수라는 시, 박목월의 얼룩송아지 등 모두 '칡소'라고 주장한 적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얼룩"이라는 말 하나를 근거로 칡소라고 주장하는 것은 과연 타당한 것일까요?

    어쩌면 칡소는 황우와 흑우의 자연교배로 태어난 무늬일 뿐 그 다양한 얼룩무늬 중에 유독 우리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호반우를 가진 소들만 모아서 칡소라는 이야기를 만들어낸 것은 아닌지 어쩌면 칡소는 황우와 흑우의 자연교배로 태어난 무늬일 뿐 그 다양한 얼룩무늬 중에 유독 우리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호반우를 가진 소들만 모아서 칡소라는 이야기를 만들어낸 것은 아닌지

    뿐만 아니라, 어떤 근거를 토대로 칡소라고 주장하는 것인지에 대한 의문도 남습니다. 칡소가 한우의 한 종이라면 칡소끼리 교배하면 칡소만 태어나야 할 텐데, 실제로는 칡소의 교배에서 황우와 흑우가 태어나기도 합니다. 이러한 사실은 칡소가 황우와 흑우의 자연교배로 태어난 무늬일 뿐 그 다양한 얼룩무늬 중에서 우리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호반우를 가진 소들만 모아서 칡소라는 이야기를 만들어낸 것은 아닌지 되짚어 보아야 할 것입니다.

    유전자 복원과 창조는 전혀 다른 이야기입니다. 우리는 환경 보호와 유전 다양성을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지만, 이를 위해선 합당한 근거와 검증이 필요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맹목적으로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따르는 것만으로는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없을 것입니다. 따라서 한국의 유전자 복원 프로젝트에 대한 의문점을 제기하고, 더욱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고려해보아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