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역사4

조선구마사 역사 왜곡 논란 조선구마사 역사 왜곡 논란, 그 파장과 교훈이미 몇년전인 2021년에 종결된 문제지만, 최근 커뮤니티 사이트를 중심으로 다시 파묘돼서 거론되기에 포스팅해 봅니다. 조선구마사 캡처화면은 SBS측이 저작권을 문제 삼을 수 있기에 뺍니다.조선 태종 시기를 배경으로 ‘좀비·서양 퇴마’라는 자극적 소재를 결합한 SBS 드라마 〈조선구마사〉는 2021년 3월 단 두 회 만에 방영이 전면 취소되었습니다. 중국풍 기생집·월병·피단·감자 등 부적절한 소품, 태종‧충녕대군(세종) 등의 인물 훼손, 기형적 복식과 무구, 교황청 구마사 등장 시점 오류 등 갖가지 고증 문제로 ‘역사 왜곡’과 ‘문화 종속’ 논란이 순식간에 들불처럼 번졌기 때문입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사건의 전말과 쟁점, 제작·방송사가 겪은 후폭풍, 그리고 한국.. 2025. 7. 6.
고려 왕 계보, 본명, 고려왕조 계보도, 가계도, 묘호 고려 왕 계보, 고려왕조 가계도, 왕 본명, 고려왕조 계보도 묘호고려는 918년 태조 왕건이 개국하여 1392년 공양왕 퇴위까지 474년 동안 이어진 왕조입니다. 이 긴 시간 동안 34명의 군주가 즉위·폐위·복위를 거듭하며 왕조의 흥망성쇠를 몸소 보여 주었습니다. ‘고려 왕 계보(王系譜)’란 혈통과 혼맥을 통해 왕위가 어떻게 승계됐는지를 밝히는 일종의 족보이며, ‘고려왕조 가계도(家系圖)’는 이를 시각적으로 도식화한 도표입니다. 또 하나 기억해야 할 용어가 ‘묘호(廟號)’입니다.묘호는 왕·황제에게 사후에 붙이는 존호로서, 고려의 군주들은 재위 중에는 ‘○○○왕’이라 불리다가 죽은 뒤 태조·광종·문종처럼 두 글자 묘호를 얻게 됩니다. 아래에서는 고려 왕 본명(휘, 諱)·묘호·재위기간·주요 업적을 중심으로,.. 2025. 6. 18.
조선왕조 계보, 가계도, 왕이름 순서 조선왕조 계보, 왕이름 순서 조선왕조 가계도조선왕조는 1392년에 태조 이성계가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새로이 건국한 이래, 27대 왕(공식적으로 군(君) 칭호가 부여된 연산군과 광해군 포함)이 약 518년간 왕위를 이어갔습니다. 이들은 국방, 외교, 문화, 제도, 종교에 이르기까지 방대한 영역에서 다양한 정책과 업적을 남겼습니다.지금부터, 각 왕을 묘호(廟號)와 이름, 그리고 재위 기간과 대표적 업적 순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다만 연산군과 광해군처럼 재위 당시에는 ‘임금’이라 불렸어도 사후에 공식 왕칭이 박탈되어 ‘군(君)’으로 불린 사례도 포함하여, 일반적으로 알려진 ‘1대부터 27대’ 순서로 안내해 드립니다.조선 왕 순서대로: 묘호, 왕이름, 재위기간, 업적 정리 조선왕조 계보아래 조선왕조 계보 목록.. 2025. 3. 18.
조선시대 벼슬 종사관 품계와 현재 계급 비교 조선시대 벼슬 종사관 품계와 현재 계급 비교조선시대의 관직 체계는 현대와는 다른 철저한 계층 구조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조선의 벼슬 품계는 신하들의 서열과 권한을 명확히 하기 위해 정교하게 설계되었으며, 오늘날의 행정, 입법, 사법 기관들과도 비교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조선시대 벼슬의 품계와 현대 계급 체계를 비교하며, 종사관을 포함한 각 계급의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조선시대 품계와 관직의 구조조선시대의 품계와 관직은 사회 계층 구조를 유지하고 국가 운영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품계는 문관과 무관으로 나뉘며, 각각 정1품에서 종9품까지의 서열로 이루어졌습니다. 이러한 체계는 당시 신분제 사회에서 개인의 사회적 지위와 국가 내 역할을 명확히 구분하는 기준이 되었습니다.동.. 2024. 12.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