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나무 병충해 방제 방법, 약치는 시기
사과는 국내 과수 재배 면적의 4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인기 있는 과수입니다. 하지만 아름답게 영글어 가는 결실 뒤에는 밭주인의 부지런한 손길과 정확한 방제 시기가 숨어 있습니다. 사과나무는 겹무늬썩음병·불마름병·흰가루병 같은 병해와 복숭아순나방·사과혹진딧물·점박이응애 등 다양한 해충에 상시 노출돼 있습니다.

특히 기후변화로 인해 병충해 발생 시기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적기 방제’ 는 과수원의 수익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가 됐습니다.


아래에서는 연중 주요 사과나무 병충해 방제 방법과 사과나무 약치는 시기 캘린더를 월별로 정리해 드리니, 한눈에 확인하시고 올해는 병해 걱정 없이 당도 높은 사과를 수확해 보시기 바랍니다.
사과나무 병충해 방제
사과나무 병충해 방제 적기란 무엇인가
- 약제 저항성 최소화: 동일 계통 약제를 연속 사용하지 않고 작용 기작이 다른 제품을 순환
- 예방적 살포 우선: ‘병징이 보이기 전에’ 살포해야 비용·노동력 절감
- 기상 정보 활용: 비 예보 전후 24시간 내 살포하면 약효 지속력 극대화


예방적 살포 vs 치유적 살포
- 예방: 발아 직전, 개화 전, 낙엽 후
- 치유: 병징 초기 발견 시 48시간 이내 즉시 대응
월별 사과나무 약치는 시기(중부 내륙 기준)
월 | 생육 단계 | 주요 병해 | 주요 해충 | 방제 포인트 |
2월 | 휴면 · 전정 | - | 월동 진딧물·응애 | 석회유황합제 5배액 전정 직후 살포 |
3월 | 발아 전 | 겹무늬썩음병 1차 접종 | - | 보르도액 8배액 + 구리계 살균제 |
4월 | 녹색신초 전개 | 흰가루병 · 겹무늬썩음병 | 애플애벌레류 | 유황계+스트로빌루린계 살균제, BT제제 살포 |
5월 | 꽃떨이 직후 | 불마름병 | 복숭아순나방 1세대 | 옥시테트라사이클린계 + 페로몬 트랩 설치 |
6월 | 어린 과실 비대 | 겹무늬썩음병 2차 | 점박이응애 | 트리아졸계 교호, 아바멕틴 살비제 |
7월 | 장마·고온기 | 탄저병 · 점무늬낙엽병 | 복숭아순나방 2세대 | 프로클로라즈 살균제, 클로란트라닐리프롤 10일 간격 |
8월 | 과실 착색 초기 | 검은별무늬병 | 응애류 재발 | 다이젠·포스틸·유기인계 교호, 살비제 재살포 |
9월 | 수확 전 | 과실 부패병 예방 | 저온성 노린재 | 수확 21일 전까지 저독성 약제 전환 |
10월 | 수확 · 낙엽 | 저장병(푸른곰팡이) | 월동 애벌레 | 포스트하비스트 살균(이마자릴)· 과수원 주변 낙엽 소각 |
11월 | 낙엽 후 | 월동 전처리 | 응애 월동란 | 11월 중순 석회유황합제 6배액 전면 살포 |
12월 | 휴면 | - | - | 전정 후 병원균 감염 부위 톱밥·석회 칠 |
Tip: 월별 처방은 기상 조건과 지역별 품종·수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농촌진흥청 ‘병해충 예보 문자 서비스’를 참고해 탄력적으로 조정하세요.
사과나무에 흔한 병해


겹무늬썩음병(Apple Scab)
- 발생 시기: 4월 새순 전개 시점부터 6월 장마 전후
- 주요 증상: 잎·과실에 검은 얼룩, 과실 변형
- 방제 핵심: 발아 직전 석회보르도액 4-6배액 예방 살포, 1차 전염원 제거(낙엽·전정가지 소각)


불마름병(Fire Blight)
- 발생 시기: 5-6월 개화 직후 고온다습 조건
- 주요 증상: 신초·꽃·과실 갈변 후 갑작스러운 고사, 꿀 같은 점액 분비
- 방제 핵심: 개화기 전후 연면 시비 대신 살균제 교호 살포, 병징 발견 시 즉시 전정·소각 후 도포제(석회유황합제) 처리
흰가루병(Powdery Mildew)
- 발생 시기: 4-5월 새순 전개기·7월 고온 건조기
- 주요 증상: 잎·신초 백색 가루, 새순 왜화
- 방제 핵심: 개화 전 유황계 살균제 1회, 장마 직후 트리아졸계 교호
사과나무 주요 충해


복숭아순나방(Codling Moth)
- 1세대 성충 발생: 5월 하순
- 피해: 과실 구멍·낙과
- 방제 포인트: 1세대 성충이 잡히는 즉시 페로몬 트랩 설치, 페나자퀸·클로란트라닐리프롤 교차 살포
사과혹진딧물(Green Apple Aphid)
- 발생 시기: 새순 전개 직후
- 피해: 잎 말림·신초 왜화
- 방제 포인트: 유살충제계 약제(플로니캄·스피로테트라마트) 2-3회 교호
점박이응애(European Red Mite)
- 발생 시기: 6-8월 고온 건조기
- 피해: 잎 황화·광합성 저하
- 방제 포인트: 6월 초 살충·살비제 혼용, 7월 알·성충 동시 방제 가능한 아바멕틴계 약제


친환경·유기농 방제 전략
생물학적 제제 적극 활용
- BT(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제제: 애벌레류에만 선택적 독성
- 엔토모병원성 선충: 뿌리혹선충·땅속 유충 방제
- 유용 엔토모병원성 곰팡이(보베리아·메타리지움): 진딧물·나방류에 효과
유황·보르도액 재해석
- 유황 0.3% 배합액은 흰가루병·응애에 동시 효과
- 보르도액 4-6배액은 겹무늬썩음병 초기 예방에 필수
물리적·문화적 방제
- 잔가지·낙엽 즉시 제거해 월동균 사멸
- 과수원 바닥 멀칭으로 낙엽 분해 촉진, 균총 균형 유지
- 방제 직전 관주 관비로 엽면약제 흡수력 향상
결론


사과나무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핵심은 ‘적기에 정확한 약제를 올바른 방식으로 살포’ 하는 것입니다. 특히 겹무늬썩음병과 복숭아순나방은 한 해 수확량을 좌우하므로, 월별 방제 달력을 숙지하고 기상 정보를 연동해 예방 위주 로 접근해야 합니다. 또한 최근 소비자들은 잔류 농약에 민감하므로, 친환경·저독성 약제 와 생물학적 제제를 병행하면 시장 경쟁력까지 확보할 수 있습니다. 올해는 체계적인 통합 방제(IPM) 전략으로 병해충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높은 당도와 선도(鮮度)를 모두 만족하는 프리미엄 사과를 수확해 보시기 바랍니다.
'기타 > 생물 식물 원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고버섯 재배방법, 참나무 원목, 배지 (0) | 2025.06.13 |
---|---|
능소화 꽃말 효능과 전설 / 이해인 시인 '능소화 연가' 시 (0) | 2025.06.10 |
호박 순치기 방법 (0) | 2025.06.03 |
감나무 약치는 시기 대봉 병충해 방제 (0) | 2025.06.01 |
종속과목강문계 영어, 칼 폰 린네의 생물 분류 (0) | 2025.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