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생물 식물 원예

매실나무 병충해 방제 시기 및 황 약치기 방법

by skView3rd2 2025. 4. 20.
반응형

매실나무 병충해 방제 시기 및 황 약치기 방법

매실은 초봄의 상큼한 향과 새콤달콤한 맛으로 많은 사랑을 받는 과수입니다. 그러나 재배 현장에서는 탄저병·흑성병·궤양병 같은 각종 병해와 복숭아유리나방 등 해충이 끊임없이 위협을 가합니다.

매실나무 병충해 방제 시기 및 황 약치기 방법

본 글에서는 월별 매실나무 병충해 방제 시기부터 병해·충별 세부 대처법, 석회유황합제를 활용한 매실나무 황 약치기 요령까지 실전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월별 매실나무 병충해 방제 시기

매실나무 약치는 시기의 핵심은 “적시(適時)·적약(適藥)·적량(適量)”입니다.

  • 적시: 병원균이 활동을 시작하기 전 선제적 살포
  • 적약: 병충별 등록 약제와 희석 배수 준수
  • 적량: 과·부족 없는 살포량으로 약해와 내성 방지

특히 휴면기(2~3월)와 낙엽기(10~11월)에 실시하는 황 약치기(석회유황합제)는 1년 방제 계획의 출발점이자 마무리입니다. 아래 캘린더를 통해 월별 관리 포인트를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생육 단계 주요 병해·충 핵심 방제 포인트
2~3월 휴면기 · 전정 궤양병 초기균, 월동충 황 약치기 20배, 전지·전정 후 상처 도포제
4월 발아 · 개화 잿빛곰팡이병, 복숭아순나방 개화 전 유기인계 살충, 스트렙토마이신 1,000배
5~6월 어린 과실 흑성병 1차, 유리나방 1화기 벤레이트 2,000배, 접촉성 살충제 혼합 살포
7~8월 여름 생육기 잎탄저병, 잿빛곰팡이 2차 다이센 400배 10일 간격, 강우 후 즉시 살포
9월 과실 비대·수확 지고병, 나방 2화기 수확 30일 전까지만 살충제 사용, 청결 수확
10~11월 낙엽기 월동균, 유충 황 약치기 20배 재살포, 낙엽 수거·소각
12~1월 휴면 안정 지주 점검, 토양 pH 6.0~6.5 유지, 동해 방지

TIP 목대 한랭균열이 잦은 지역은 12월에 백도제를 덧칠하면 월동해충 구제를 겸할 수 있습니다.

주요 매실나무 병해·충별 방제 가이드

매실나무 궤양병

  • 증상: 가지·줄기에 갈색 점, 수액 누출 → 균전(菌塼) 형성
  • 1차 방제: 휴면기 황 약치기 직후 상처 부위에 스트렙토마이신 1,000배 도포
  • 2차 방제: 발아 직후 10일 간격 2회 살포
  • 관리 팁: 칼·가위 소독(차아염소산 200배)으로 2차 감염 차단

매실나무 흑성병

매화나무 흑성병

  • 발병 시기: 고온다습한 5~6월, 8월 장마 후 급증
  • 약제: 휴면기 석회유황합제 20배, 생육기 벤레이트 2,000배
  • 방제 포인트: 통풍 확보를 위한 솎아주기 및 지면 반사필름 제거

매실나무 잎 탄저병

  • 특징: 동심원형 흑점, 주변 황변 → 조기낙엽
  • 최적 약제: 다이센(Mancozeb) 400배
  • 살포 시기: 7월 장마 시작 전, 장마 종료 후 즉시 3회

매실나무 잿빛곰팡이병

매실나무 잿빛곰팡이병

  • 발생 조건: 낙화기 저온·습도 90%↑
  • 방제: 노부랄·노리란 수화제 번갈아 7일 간격
  • 관리 팁: 개화기 관수량 20% 절감 → 상대습도 컨트롤

지고병

  • 증상: 수확기 잎맥 따라 흑자 좌, 잎 조기 탈락
  • 방제: 수확 40~30일 전 프로클로라즈·테부코나졸 계열 살포
  • 주의: 약제 수확 전 안전사용기한 필수 확인

복숭아유리나방

  • 우화 최성기: 6월 하순~7월 초, 8월 하순 2화기
  • 약제: 클로르플루아주론 + 합성 제충국 혼합 백도제, 줄기 집중 살포
  • 물리적 방제: 유살(誘殺) 트랩 30개/㏊ 설치, 알집 제거


매실나무 황 약치기(석회유황합제) 핵심 요령

석회유황합제의 역할

석회(피막 형성) + 유황(살균·살충)이 결합해 원형 보호막을 만들어 줍니다. 미생물 증식 억제, 난·유충 산란 억제, 동해 경감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습니다.

희석비율·준비

1) 표준 : 물 20 L + 합제 1 L (20배)
2) 저온 피해 우려지역 : 25배 → 약해 최소화
3) 고령목·약목 : 30배 → 수피 연화 방지

pH 11 이상 알칼리성 용액이므로, 다른 유제·살충제와 혼용 금지입니다.

살포 프로세스

  1. 기온 4 ℃ 이상·풍속 2 m/s 이하 맑은 날 선정
  2. 600 ㎖/주 기준으로 상·중·하단 겹살포
  3. 표면 건조(4~5시간) 전 노출수 간섭 없는지 확인
  4. 작업 후 분무기 황산구리세척(pH 5) → 장치 부식 방지

안전 수칙

  • 질식·피부 화학 화상 예방을 위해 보호안경·N95 마스크·질소고무장갑 착용
  • 인근 양봉·양어장에 24시간 전 안내
  • 남은 약액은 pH 7 중화 후 잔류물 폐기

매실나무 생물학적 분류

  • 계(界, Kingdom): 식물계 (Plantae)
  • 문(門, Phylum): 속씨식물문 (Magnoliophyta)
  • 강(綱, Class): 쌍떡잎식물강 (Magnoliopsida)
  • 목(目, Order): 장미목 (Rosales)
  • 과(科, Family): 장미과 (Rosaceae)
  • 속(屬, Genus): 매실속 (Prunus)
  • 종(種, Species): 매실 (Prunus mume)
  • 학명(Scientific name): Prunus mume
  • 영문명(English name): Japanese apricot, Chinese plum

결론

매실나무 병충해 관리에서 “한 번에 끝내겠다”는 접근은 위험합니다.

  1. 휴면기와 낙엽기의 황 약치기로 기본 방어막을 구축하고,
  2. 생육기에는 병해별 맞춤 살균·살충제를 “짧은 간격·낮은 배수·교호살포” 원칙으로 운영하며,
  3. 통풍·배수·전정 등 물리적·환경적 관리를 병행해야 내성 발생 없이 건강한 수세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올해도 적기에 올바른 방제를 실시해 새벽 이슬 머금은 청매(靑梅)를 풍성히 수확하시길 바랍니다.

홍매화 꽃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