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참외 순치기 방법 완전 정복 가이드, 그림
달콤한 향으로 여름을 장식하는 참외는 ‘손자줄기’에서만 착과가 이뤄지는 독특한 생육 특성 덕분에 _순치기(순지르기)_가 수확량과 과실 품질을 좌우합니다. 원줄기를 언제 어디서 잘라야 하는지, 열매를 키울 줄기는 무엇을 남기고 무엇을 없앨지 — 이런 결정이 초보 재배자에게는 벅찬 숙제이죠. 그러나 원리를 이해하면 순치기는 복잡한 퍼즐이 아니라 단계별 ‘가지치기 로드맵’에 불과합니다.


이 글에서는 농촌진흥청 권장 기준과 현장 경험을 종합해 참외 순치는 시기·참외 순치기 방법·관리 포인트를 그림과 함께 체계적으로 정리했습니다.
참외 생육 특성과 순치기의 원리
참외의 줄기 구조 이해
- 원줄기(어미줄기): 발아 후 최초로 자라는 주간.
- 아들줄기(1차 측지): 원줄기 마디에서 나오는 곁순.
- 손자줄기(2차 측지): 아들줄기에서 다시 돋는 곁순으로, 실제 열매가 맺히는 ‘주 무대’입니다.
순치기가 필요한 이유
- 착과 위치 최적화: 손자줄기 상단 4 ~ 7마디에서만 과실이 굵게 자랍니다.
- 영양소 분배: 과도한 측지 제거로 당분과 수분이 열매로 집중.
- 재배 공간 절감: 지지대나 수직 유인 시 덩굴 밀집을 방지해 병해충을 감소시킵니다.

참외 순치기 준비 단계 - 참외 순치는 시기와 도구
적정 참외 순치는 시기
단계 | 잎 개수(마디) | 온실/노지 기준 온도 | 비고 |
1차(원줄기) | 본잎 4 ~ 6장 | 주간 22 ~ 28 ℃ | 밤 온도 15 ℃ 이상 확보 |
2차(아들줄기) | 아들줄기 8 ~ 10마디 | 주간 25 ~ 30 ℃ | 수꽃 개화 직전 |
3차(손자줄기) | 손자줄기 7 ~ 8마디 | 동일 | 열매 비대 직전 |
참외 순치기 준비 도구
- 날 세운 정배(園芸용 가위)
- 70% 알코올 소독액
- 빨간색 매듭끈(순치기 완료 표시용)
- 수평·수직 겸용 지지대 세트
TIP : 절단 후 노출면에 목초액 1,000배 희석액을 살짝 분무하면 곰팡이병 발병률이 30%↓로 감소합니다.
단계별 참외 순치기 방법


1️⃣ 1차 적심 — 원줄기 컨트롤
- 대상 : 본잎 5장이상일 때 원줄기 ‘생장점’을 핀셋으로 제거
- 목표 : 아들줄기 3 ~ 4개 발달 유도
- 주의 : 지면 가까운 1·2번 곁순은 병원균 근원지 → 즉시 제거
2️⃣ 아들줄기 선정·유인
- 3·4·5번 곁순을 선택해 지지대 방향으로 비스듬히 클립 고정
- 각 아들줄기 하단 2마디 곁순은 제거, 상단부 5 ~ 8마디까지만 유지
- 1 아들줄기당 엽수 15매 확보가 광합성 최적치

3️⃣ 2차 적심 — 아들줄기 8마디 컷
- 마디 수 체크 후 생장점을 절단, 호르몬 흐름을 손자줄기로 전환
- 곁순 1 ~ 4마디는 수분·통풍 목적 외엔 과감히 제거
4️⃣ 손자줄기 집중 관리
- 착과 위치 : 손자줄기 4 ~ 7마디 꽃 기준으로 1줄기 1과만 남김
- 적과 타이밍 : 과실 직경 2 cm 시점에 약한 열매·흔들리는 꽃은 제거
- 손자줄기 8마디에서 적심, 이후 증손줄기(3차 측지) 발생 최소화
5️⃣ 수평 vs 수직재배 응용
구분 | 장점 | 단점 | 권장 작업 |
수평(땅재배) | 통풍↑, 작업 편의 | 면적 소모 | 멀칭 필수·배수 관리 |
수직(공중부양) | 공간 절약·병 저감 | 유인 노하우 필요 | 줄기 길이 40 cm부터 클립 고정, 열매 망 사용 |
순치기 실패·성공 사례 비교
항목 | 실패 사례 | 성공 사례 |
원줄기 적심 | 3마디 미만 조기 절단 → ‘블라인드’ 현상 | 5 ~ 6마디 후 적심 → 곁순 왕성 |
아들줄기 선택 | 5개 이상 과다 유지 → 영양분 분산 | 3개 집중 유지 → 과실 당도 2°Brix↑ |
손자줄기 적과 | 1줄기 3과 방치 → 소과·기형과 | 1줄기 1과 관리 → 균일 과형 |


순치기 후 관리 포인트
비료·수분 관리
- 1차 순치기 직후 질소:N, 인산:P, 칼륨:K 비율을 1:1:1로 맞춘 복합비 1 kg/10㎡ 시비
- 착과 후 20 일 시점부터 관수량 30% 줄여 당도↑
- 흙 표면 건조 시, 아침 해뜨기 전 10 L/주 관주가 가장 안전
병해충 예방
- 순치기 절단면은 24 h 이내 갈변 여부 관찰
- 노지재배 시 잎뒷면에 응애·진딧물 발생이 잦으므로 아바멕틴 1,000배 저녁 살포
- 당밀 0.2%+유청 1% 혼합액을 7일 간격 엽면시비 → 천연 칼슘 공급 및 세균성 점무늬병 억제
참외 순지르기 그림·체크리스트 활용

상단의 참외 순지르기 그림 이미지 슬라이드에는
- 원줄기 5마디 적심 위치,
- 아들줄기 선택·제거 예시,
- 손자줄기 착과 마디 표시,
- 수직재배 사례 비교 그림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작업 전 스마트폰에 캡처해 현장에서 바로 참고하면 실수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결론
참외 순치기는 ‘어미 → 아들 → 손자’ 세 단계 흐름을 이해하면 의외로 단순합니다. ① 시기·마디 수를 지키고, ② 필요 없는 곁순은 과감히 제거하며, ③ 열매는 손자줄기 4 ~ 7마디에 1과만 남긴다 — 이 세 가지만 기억하세요. 면적이 좁은 도시 텃밭이라도 수직 유인과 순치기를 병행하면 고품질 참외를 충분히 수확할 수 있습니다. 이제 ‘복잡하다’는 두려움을 내려놓고, 달콤한 노란 참외가 줄기에 매달리는 풍성한 장면을 직접 경험해 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기타 > 생물 식물 원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팝나무와 조팝나무 차이·유래·꽃말 (0) | 2025.05.22 |
---|---|
식용버섯 종류, 사진과 이름, 졸각버섯, 영지버섯, 붉은사슴뿔버섯 독버섯 (0) | 2025.05.17 |
매실나무 병충해 방제 시기 및 황 약치기 방법 (0) | 2025.04.20 |
참깨 파종 시기, 모종 심는 방법 (0) | 2025.04.19 |
들깨 파종시기, 중부지방 (0) | 2025.04.18 |